TH3 6R3@T H@CK
CPU 스케줄링 본문
※ 운영체제 수업 내용 복습
* 내용 추가 예정
CPU 스케줄러
∙ 운영체제에서 식당 관리자의 역할을 담당
∙ 여러 프로세스의 상황을 고려하여 CPU와 시스템 자원의 배정을 결정
고수준 스케줄링
∙ 시스템 내의 전체 작업 수를 조절하는 것
∙ 어떤 작업을 시스템이 받아들일지 또는 거부할지를 결정
∙ 시스템 내에서 동시에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의 총 개수가 정해짐
∙ 장기 스케줄링, 작업 스케줄링, 승인 스케줄링이라고도 함
저수준 스케줄링
∙ 어떤 프로세스에 CPU를 할당할지, 어떤 프로세스를 대기 상태로 보낼지 등을 결정
∙ 아주 짧은 시간에 일어나기 때문에 단기 스케줄링이라고도 함
중간 수준 스케줄링
∙ 중지와 활성화로 전체 시스템의 활성화된 프로세스 수를 조절하여 과부하를 막음
∙ 일부를 중지 상태로 옮김으로써 나머지 프로세스가 원만하게 작동하도록 지원
∙ 저수준 스케줄링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완충하는 역할
고수준 스케줄링: 전체 시스템의 부하를 고려하여 작업을 시작할지 말지를 결정
중간 수준 스케줄링: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려서 전체 프로세스 수를 조절해야 한다면 이미 활성화된 프로세스 중 일부를 보류 상태로 보냄
저수준 스케줄링: 실제 작업을 수행
CPU 스케줄링의 목적
∙ 공평성: 모든 프로세스가 자원을 공평하게 배정받아야 하며, 자원 배정 과정에서 특정 프로세스가 배제되어서는 안 됨
∙ 효율성: 시스템 자원이 유휴 시간 없이 사용되도록 스케줄링을 하고, 유휴 자원을 사용하려는 프로세스에는 우선권을 주어야 함
∙ 안정성: 우선순위를 통해 중요 프로세스가 먼저 작동하도록 배정하여 시스템 자원을 점유, 파괴하려는 프로세스로부터 자원을 보호해야 함
∙ 확장성: 프로세스가 증가해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조치해야 되며 시스템 자원이 늘어나는 경우 이 혜택이 시스템에 반영되게 해야 함
∙ 반응 시간 보장: 응답이 없는 경우 사용자는 시스템이 멈춘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시스템은 적절한 시간 안에 프로세스의 요구에 반응해야 함
∙ 무한 연기 방지: 특정 프로세스의 작업이 무한히 연기되어서는 안 됨
선점형 (Preemptive) 스케줄링
∙ 운영체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실행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의 작업을 중단시키고 새로운 작업을 시작할 수 있는 방식
∙ 하나의 프로세스가 CPU를 독점할 수 없기 때문에 빠른 응답 시간을 요구하는 대화형 시스템이나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
∙ 대부분의 저수준 스케줄러는 선점형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
비선점형 (Non-Preemptive) 스케줄링
∙ 어떤 프로세스가 실행 상태에 들어가 CPU를 사용하면 그 프로세스가 종료되거나 자발적으로 대기 상태에 들어가기 전까지는 계속 실행되는 방식
∙ 선점형 스케줄링보다 스케줄러의 작업량이 적고 문맥 교환에 의한 낭비도 적음
∙ CPU 사용 시간이 기 프로세스 때문에 CPU 사용 시간이 짧은 여러 프로세스가 오랜 시간동안 기다리게 되어 전체 시스템의 처리율이 떨어짐
∙ 과거의 일괄 작업 시스템에서 사용하던 방식
선점형 스케줄링과 비선점형 스케줄링의 비교
구분 | 선점형 | 비선점형 |
작업 방식 | 실행 상태에 있는 작업을 중단시키고 새로운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. | 실행 상태에 있는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작업이 불가능하다. |
장점 | 프로세스가 CPU를 독점할 수 없어 대화형이나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하다. | CPU 스케줄러의 작업량이 적고 문맥 교환의 오버헤드가 적다. |
단점 | 문맥 교환의 오버헤드가 많다. | 기다리는 프로세스가 많아 처리율이 떨어진다. |
사용 | 시분할 방식 스케줄러에 사용된다. | 일괄 작업 방식 스케줄러에 사용된다. |
중요도 | 높다. | 낮다. |
프로세스 우선순위
∙ 커널 프로세스의 우선순위가 일반 프로세스보다 높음
∙ 시스템에는 다양한 우선순위의 프로세스가 공존하며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CPU를 먼저, 더 오래 차지
∙ 시스템에 따라 높은 숫자가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내기도 하고, 낮은 숫자가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내기도 함
CPU 집중 프로세스
∙ 수학 연산과 같이 CPU를 많이 사용하는 프로세스로 CPU 버스트가 많은 프로세스
입출 집중 프로세스
∙ 저장장치에서 데이터를 복사하는 일과 같이 입출력을 많이 사용하는 프로세스로 입출력
버스트가 많은 프로세스
우선 배정
∙ 스케줄링을 할 때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CPU 집중 프로세스보다 높이면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
전면 프로세스
∙ GUI를 사용하는 운영체제에서 화면의 맨 앞에 놓인 프로세스
∙ 현재 입력과 출력을 사용하는 프로세스
∙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하여 상호작용 프로세스라고도 함
후면 프로세스
∙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없는 프로세스
∙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작동하기 때문에 일괄 작업 프로세스라고도 함
∙ 전면 프로세스의 우선순위가 후면 프로세스보다 높음
스케줄링 우선순위 요약
준비 상태의 다중 큐
∙ 프로세스는 준비 상태에 들어올 때마다 자신의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큐의 마지막에 삽입
∙ CPU 스케줄러는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큐(0번 큐)의 맨 앞에 있는 프로세스 6에 CPU 할당
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배정하는 방식
∙ 고정 우선순위 방식
∙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면 프로세스가 끝날 때까지 바뀌지 않는 방식
∙ 프로세스가 작업하는 동안 우선순위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구현하기 쉽지만, 시스템의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는데
우선순위를 고정하면 시스템의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워 작업 효율이 떨어짐
∙ 변동 우선순위 방식
∙ 프로세스 생성 시 부여받은 우선순위가 프로세스 작업 중간에 변하는 방식
∙ 구현하기 어렵지만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
대기 상태의 다중 큐
∙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대기 상태에서는 같은 입출력을 요구한 프로세스끼리 모아 놓음
다중 큐 비교
∙ 준비 큐
∙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를 꺼내어 CPU를 할당
∙ 대기 큐
∙ 여러 개의 프로세스 제어 블록을 동시에 꺼내어 준비 상태로 옮김
∙ 대기 큐에서 동시에 끝나는 인터럽트를 처리하기 위해 인터럽트 벡터라는 자료 구조 사용